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국가과제5

국가과제 제안서 잘 쓰는 법 1. 제안서 구조2. 개요 잘 쓰는 법3. 필요성 잘 쓰는 법4. 목표 및 내용 잘 쓰는 법5. 정량적 목표 잘 세우는 법1. 제안서 구조제안서의 구조는 보통 아래와 같습니다.  1. 개요 및 필요성2. 목표 및 내용3. 추진전략 및 추진체계4. 활용방안 및 기대효과5. 사업화 전략6. 예산 2. 개요 잘 쓰는 법기술개요는 기술의 개념을 설명하는 것입니다. 첫 장에서 임팩트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어떤 기술인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그림과 함께 5줄 내외로 기술을 요약하여 설명합니다. 또한 기술 내용을 구체적 항목으로 나타내야 합니다. 장황하게 기술을 설명하는게 아니라 몇개의 항목으로 구체화 하여 어떤 기술을 개발할 것인지 한눈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.  임펙트 있는 그림 + 5줄 내외 내용 요약+.. 2025. 1. 28.
국가과제 제안서, 보고서 다운로드 받는 법 1. ntis (https://www.ntis.go.kr/ThMain.do) 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과제공고, 과제/성과(논문특허), 연구시설/장비 정보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www.ntis.go.kr - 어느 회사가 어느 과제를 하고 있는지 정도는 알 수 있음.- 원문이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음.- 국가과제 보고서는 결국 science on 으로 연결됨  2. 사이언스온(https://scienceon.kisti.re.kr/main/mainForm.do) 과학기술 지식인프라 ScienceON (사이언스온)KISTI 사이언스온은 연구과제, 학술, KCI, 대학 논문과 참고문헌, 특허 검색, 논문 인용 및 요약, 과학 트렌드 등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scienceon.kisti.. 2025. 1. 28.
국가연구개발비 기준 국가연구개발비가 과제를 주는 기관 별로 다른 줄 알았는데 법령으로 정해져 있었다. https://www.law.go.kr/%ED%96%89%EC%A0%95%EA%B7%9C%EC%B9%99/%EA%B5%AD%EA%B0%80%EC%97%B0%EA%B5%AC%EA%B0%9C%EB%B0%9C%EC%82%AC%EC%97%85%EC%97%B0%EA%B5%AC%EA%B0%9C%EB%B0%9C%EB%B9%84%EC%82%AC%EC%9A%A9%EA%B8%B0%EC%A4%801. 직접비와 간접비연구개발비는 직접비와 간접비로 나뉩니다. 1) 직접비 :  인건비, 학생인건비, 연구시설ㆍ장비비, 연구재료비, 연구활동비, 연구수당, 보안수당, 위탁연구개발비, 국제공동연구개발비, 연구개발부담비로 사용할 수 있다. 2) 간접비 : .. 2025. 1. 28.
[국가과제 예산 짜는 법] 정부지원금, 기관 현금, 기관 현물 설정 국가과제 예산을 짤 때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정부지원금, 기관현금, 기관현물을 설정하는 것입니다. 정부지원금은 1년에 1억원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. 정부지원금 : 1억원 1. 기관부담금 범위민간에서도 일정 부분 비용을 부담하게 하기 위해 정부지원금 비율의 최댓값이 공고에 제시됩니다. 정부지원금 비율은 60%이하여야 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. 전체 연구개발비에 대해 정부 지원금이 60% 이하가 되어야 합니다. 정부지원금/전체연구개발비 ≤ 60%전체 연구개발비에 대해 계산하면 아래와 같습니다. 정부지원금/(0.6) ≤ 전체연구개발비전체 연구개발비는 정부지원금과 기관부담금의 합입니다. 정부지원금/(0.6) ≤ 정부지원금+기관부담금따라서 기관부담금은 아래와 같습니다. 정부지원금/(0.6)-정부지원금 ≤ 기관부담금1.. 2025. 1. 28.
[국가과제 제안서] 필요성 쓰는 법 국가과제 제안서를 쓸 때 필요성 항목을 적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. 정부부처에 따라 제안서 목차가 조금씩 다르다. 이번 글은 아래와 같은 목차를 갖는 경우를 다루겠다. 1. 연구개발과제의 필요성 2. 연구개발과제의 목표 및 내용 3. 연구개발과제의 추진전략,방법,추진체계 4.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,기대효과 5. 연구개발성과의 사업화 전략 및 계획 당연히 이 글이 정답은 아니다. 제안서를 여러번 써보며 편하게 쓰는 방법을 계속 고민했고, 현재까지의 경험을 공유하려고 하는 것이다. 여기서 '편하게 쓰는 방법'이란 불필요한 반복작업을 줄이고 본질에 집중할 수 있는 '구조'를 따라 쓰는 것을 의미한다. 이해를 돕기 위해 주제를 하나 정하고 필요성의 구조를 짜보려고 한다. 주제는 폐암 검출용 인공.. 2023. 5. 9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