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가과제 예산을 짤 때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정부지원금, 기관현금, 기관현물을 설정하는 것입니다. 정부지원금은 1년에 1억원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.
정부지원금 : 1억원
1. 기관부담금 범위
민간에서도 일정 부분 비용을 부담하게 하기 위해 정부지원금 비율의 최댓값이 공고에 제시됩니다. 정부지원금 비율은 60%이하여야 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. 전체 연구개발비에 대해 정부 지원금이 60% 이하가 되어야 합니다.
정부지원금/전체연구개발비 ≤ 60%
전체 연구개발비에 대해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정부지원금/(0.6) ≤ 전체연구개발비
전체 연구개발비는 정부지원금과 기관부담금의 합입니다.
정부지원금/(0.6) ≤ 정부지원금+기관부담금
따라서 기관부담금은 아래와 같습니다.
정부지원금/(0.6)-정부지원금 ≤ 기관부담금
1억을 넣어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.
66666666원 ≤ 기관부담금
반올림해서 6700만원으로 잡겠습니다.
6700만원 ≤ 기관부담금
2. 기관부담 현금 범위
기관부담금은 기관부담 현금과 기관부담 현물로 구성됩니다.
기관부담금 = 기관부담 현금 + 기관부담 현물
나라에서는 기관이 일정 이상 현금을 부담하게 하고 싶어합니다. 따라서 기관부담금에서 현금을 얼마 이상으로 하라고 비율을 정해놓았습니다. 이 비율을 40%라고 놓겠습니다. 부등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기관부담금*0.4 ≤ 기관부담 현금
기관부담금은 6700만원 이상이어야 하므로, 기관부담 현금의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.
2680만원 ≤ 기관부담 현금
3. 기관부담 현금 정하기
기관부담 현금은 2680 이상이면 됩니다. 돈을 더 낼 수 있는 회사에서는 더 내면 됩니다.
4. 국가과제 예산 계산기
정부지원금, 기관현금, 기관현물을 쉽게 나눌 수 있는 엑셀시트를 첨부합니다.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시면 됩니다.
'제안서 쓰는 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가과제 제안서, 보고서 다운로드 받는 법 (0) | 2025.01.28 |
---|---|
제안서에서 기대효과는 어떻게 써야할까? (0) | 2025.01.28 |
제안서에서 활용방안은 어떻게 써야할까? (0) | 2025.01.28 |
국가연구개발비 기준 (0) | 2025.01.28 |
[국가과제 제안서] 필요성 쓰는 법 (0) | 2023.05.09 |
댓글